지금 SKT가 국제 CP 에게 통신료를 달라는 게

2021. 11. 28. 10:06카테고리 없음

전세계 통신업계에서 전혀 유례가 없는 억지 주장임에도 
한국 언론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대기업의 돈과 힘으로 
마치 넷플릭스가 당연히 내야하는 통신료를 
한국을 무시해서 한국에서만 안내고 있다는 듯이 
마치 넷플릭스가 해서는 안되는 나쁜 짓이라도
무임승차라는 프레임을 씌우며 언론 플레이를 하는 게 너무 괘씸
 

현재의 SKT의 요구는 원래는 무선망에 투자해야 하는 비용은

SKT 가 부담하고 그 걸 SKT 사용자의 요금에 반영하는 게 
KT나 LGU 뿐 아니라 전세계의 모든 통신사들이 하는 방식인데  
그런 통신업계의 철칙을 무시하고 자기들 무선망에 넷플릭스 의 트래픽이 통과하는데 
자기들도 돈좀 뜯어먹을 수 있는 통행세를 받고 싶다는 것일 뿐임.
 
SKT 가  큰 적자라도 보고있으면 그런 개소리도 나름 그 동기를 이해하고 
동정이라도 받을 수 있겠지만 연간 1조5천억원의 흑자를 내면서 
요즘 CP 들이 돈잘 버는데 자기는 데이터 파이프 장사만 하는게 배아파서 
SKT가 한국 언론 광고계의 큰 손으로 한국 언론을 주무를 수 있는 
힘을 이용해서 SKT 의 일방적 주장을 연일 보도하며  
냇플릭스가 당연히 내야하는 요금을 내지않고 버티며
무임승차 하는 파렴치로 모함하고 있음.
 
넷플릭스가 한국에서만 파렴치하게 무임승차 하는게 아니고 
SKT 가 바로 산도적 처럼 통행세를 받겠다는 것임
 
 
 
 
전화를 예로 들면
하나의 통화가 발생했을때 거는사람이 통화료를 지불하는게 일반적이죠?
그런데 우리집에 전화를 거는 사람이 많아졌다고 받는사람에게도 통화료를 받겠다는거

 

 

 

 

 

 

 

 

 

=================

==================

 

 

이날 넷플릭스 글로벌 콘텐츠 전송 부문 디렉터인 토마 볼머는 "과거에는 넷플릭스가 (계약관계에 따라) 해외 ISP에게 망 이용료를 지불했을 수 있지만 현재 기준 전 세계 어느 ISP에도 망 사용료를 내지 않고 있어 한국의 로컬 ISP만 차별적으로 대우하는 것은 힘들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CP들이 한국의 콘텐츠를 지역화, 현지화하는 데 있어 더 이상 인센티브가 없어진다면 더 이상 한국 로컬리제이션(현지화)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라고 망 사용료 불가 입장을 고수했다

 

또 그는 "만약 해외 CP들이 한국 외부에 콘텐츠를 두고 가져와야 한다면 장거리에서 콘텐츠를 끌어오면서 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한국 전체적으로 속도 저하가 있을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https://www.insight.co.kr/news/369819?fbclid=IwAR2LYIYF8w_5aXt4TtsOJxOfGJWEX5bHlEoU_Vrkr8oVug2JHsHGXFW0eE0 

 

넷플릭스, 망 사용료 부과시 ‘K-콘텐츠 현지화 포기’ 시사

넷플릭스 측이 망 이용료 법제화가 될 경우 한국 콘텐츠 투자 중단을 시사했다.

www.insight.co.kr

똑같은 놈들 ㅆ

내든 안내든 둘이 알아서 할 문제지만 국내 컨텐츠 투자 안하겠다는 협박은 꼴사납네요.
투자 대비 이익률 따지면 누가 더 아쉬울 지 빤히 보이는데

한국에서의 경제효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고 운운하던게 얼마전이었는데

 

 

 

 

 

 

 

 

SKT랑 넷플릭스간의 다툼= 국내 사기업과 해외사기업간의 다툼
KT와 LGU+는 넷플릭스와 제휴관계로 각각 인터넷과 모바일 상품에 넷플릭스를 끼워팔기하며 서로 윈윈 중
LGU+는 최초로 넷플릭스와 제휴를 맺어 재미를 많이봐서 이번에 디즈니플러스 런칭에서도 제휴 맺으려고 노력을 많이 했다고 함
반면 SKT의경우 넷플릭스와 제휴 관계도 못 맺고 넷플릭스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트래픽은 늘어나고.. 그런데 타사는 그런 넷플릭스 덕을 보고 있고 자기네는 덕도 못보는데 트래픽 증가로 가입자들 볼맨소리 듣다 타사에 뺐기고…열받을만 하다고 봄
뉴스보면 아시겠지만… KT랑 LGU+는 이번 건에서 매우 조용하죠~
사기업들간 이런 분쟁에서 정부와 국회의 좋은 태도는 그 분쟁으로 인해 피해를 볼 수 있는 소비자.. 즉 국민들을 위한 법제도를 만드는 거지.. 특정 기업을 위한 제도를 만드는게 아니라고 생각